이경전. (2018). 콘텐츠산업이 인공지능을 만나면?, Insight Vol.4. (PDF) in Korean
인공지능이 콘텐츠를 만드는 시대는 인간이 만들던 시대와 완전히 다른 시대가 될 수도 있다. 또 인공지능 시대의 콘텐츠 소비자는 그 이전의 소비자와는 다를 것이다. 그 기대를 어떻게 충족시켜 나갈 것인가가 인공지능시대 콘텐츠 산업 종사자들의 핵심 도전이 될 것이다.
Artificial Intelligence & Business Model Laboratory
이경전. (2018). 콘텐츠산업이 인공지능을 만나면?, Insight Vol.4. (PDF) in Korean
인공지능이 콘텐츠를 만드는 시대는 인간이 만들던 시대와 완전히 다른 시대가 될 수도 있다. 또 인공지능 시대의 콘텐츠 소비자는 그 이전의 소비자와는 다를 것이다. 그 기대를 어떻게 충족시켜 나갈 것인가가 인공지능시대 콘텐츠 산업 종사자들의 핵심 도전이 될 것이다.
이준웅, & 이경전. (2009). 가치혁신의 체계화 방법으로서의 UIF Map 의 제안.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1-36. (PDF) in Korean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근 미래 사회에 각광받는 제품/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적 프레임을 인간 가치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 가치 혁신적 기술 개발의 개념을 제시하고, (2) 인간 가치의 구성과 속성에 대해 탐색하고, 이를 근거로 (3) 가치 혁신적 제품/서비스 평가와 기획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가치 혁신적 제품/서비스 기획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인간 가치-도구적 가치-기술적 기능> 관계를 표상하는 도구로서 UIF Map을 소개하고 그 활용방법을 예시할 것이다. UIF Map이란 인간 가치의 관점에서 제품/서비스를 평가하고 기획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개발한 방법적 도구이다. 이 도구를 잘 구성하고 활용한다면 구체적인 제품/서비스 기획과 평가 과정에서‘인간 가치를 중심으로 한 기술 혁신’에 좀더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이다.
이경전. (2000). [인터넷비즈니스] p2p 비즈니스 모델. en@able. (PDF) in Korean
최근에 인터넷 비즈니스에서 많이 논의되고 있는 P2P라는 용어는 Peer-to-Peer의 줄임말이다 (이 글은 Path-to-Profit, People-to-People 등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는다). Peer-to-Peer의 줄임말로서의 P2P는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인터넷 비즈니스의 중요한 변화를 표현하는 함축적 용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경전. (2017). 인공지능과 인재육성 Harvard Business Review Korea. (PDF) in Korean
월간 HRD 12월호 Advisor Column
Lee, K., Peer-to-Peer Electronic Commerce: A Taxonomy and Cases,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 Commerce, Wien, Austria, 2001. (PDF)
ABSTRACT
Peer-to-peer electronic commerce (P2P EC) is a technical (or architectural) alternative (or complement) to Web-based EC. P2P EC may be defined as a class of electronic commerce that takes advantage of resources available at the edge of the Internet. A taxonomy of P2P EC based on the features of the edge resources is suggested. Among the five categories based on the taxonomy, we introduce the emerging P2P EC cases in physical product marketplace, digital product marketplace, and digital casting marketplace. For each case, we discuss the motivations of the P2P EC, the status of the real world business, technical issues to be solved, business issues, and future prospects.
NFC 정책 연구 과제. 방송통신위원회(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2-2013.
NFC 융합 제품 개발 및 검증 인프라 구축을 위한 선행 연구. 2012-2013
NFC기반 보건의료 서비스 개발. 2013-2015
NFC 전모드 지원 세렌디피티 엔진 개발. 2013-2015.
태그 비컨 통합 O2O 상거래 서비스 인스토어 컴퓨팅 기술 개발. 미래창조과학부(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4-2015.